퇴직금 계산, 숫자만 보면 금방 할 것 같아도 막상 해보면 헷갈리는 경우 많죠? 오늘은 헷갈림 없이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계산법부터 지급 조건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1분 만에 끝내는 퇴직금 계산 가이드
퇴직금 계산 공식
퇴직금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과 근로기준법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.
항목 | 계산식 |
---|---|
퇴직금 | 1일 평균임금 × 30일 × (총 계속근로일수 ÷ 365) |
1일 평균임금 산출법
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해당 기간의 총일수로 나누면 1일 평균임금이 나옵니다.
- 포함: 기본급, 고정수당, 정기상여금(비율 계산), 연차수당(비율 계산)
- 제외: 교통비·식대 등 실비성 수당, 일시·임시 지급금
만약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다면,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
계산 시 꼭 확인할 사항
- 육아휴직, 출산전후휴가 등은 평균임금 산정 기간에서 제외됩니다.
- 상여금·연차수당은 근속기간에 맞게 비율 계산해야 합니다.
- 퇴직금 청구권은 퇴직 다음 날부터 3년이 지나면 소멸합니다.
퇴직금 지급 기한과 제재
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이며,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당사자 합의로 연장 가능합니다.
기한을 넘길 경우 연 20%의 지연이자가 붙고,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실제 계산 사례
항목 | 값 |
---|---|
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 | 6,000,000원 |
상여금 (3개월 비율) | 1,000,000원 |
연차수당 비율 | 75,000원 |
총 일수 | 92일 |
1일 평균임금 | (6,000,000 + 1,000,000 + 75,000) ÷ 92 ≈ 75,815원 |
재직일수 | 1,000일 |
퇴직금 | 75,815 × 30 × (1,000 ÷ 365) ≈ 6,225,000원 |
자주 묻는 질문
- Q. 퇴직금 지급 대상은 누구인가요?
A. 1년 이상,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 - Q. 평균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은?
A. 기본급, 고정수당, 정기상여금, 연차수당 - Q. 휴직 기간이 있으면?
A. 평균임금 산정 기간에서 제외됩니다. - Q. 통상임금이 더 높다면?
A.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 - Q. 소멸시효는 얼마나 되나요?
A. 퇴직 다음 날부터 3년입니다.
마무리
지금 바로 내 퇴직금을 계산해 보세요! 정확한 계산은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출처 및 참고
함께 읽으면 유익한 포스팅
2025.08.11 - [금융정보] -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최대화 전략 – 조건별 가입 요령
청년도약계좌 수령액 최대화 전략 – 조건별 가입 요령
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월 최대 70만 원 납입 시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더해 5년 만기 수령액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청년 전용 금융상품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조건별 가입 요령, 실제 가입
blog.k-journey.kr
카카오뱅크 프렌즈 체크카드 혜택 완벽 비교 가이드
카카오뱅크 프렌즈 체크카드의 기본 캐시백(평일 0.2%·주말/공휴일 0.4%)과 연간 프로모션 업종별 캐시백을 비교 분석해, 어떤 사용 패턴에서 더 유리한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 전월 30만 원 이
blog.k-journey.kr
2025 근로장려금 신청방법과 자격요건 총정리
근로장려금 신청 자격, 기간, 지급액이 헷갈리시나요? 이 글 하나로 2025년 기준 모든 요건과 절차를 쉽게 파악하고 확실히 대비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.놓치면 후회하는 2025 근로장려금 신
blog.k-journey.kr
생계급여 자격 조건 신청방법 2025년 최신 업데이트
2025년 기준으로 완전히 새로 정리된 생계급여 정보를 전해드릴게요. 신청 자격, 준비 서류, 신청 절차까지 복잡해 보이지만, 이 글만 보면 한눈에 싹 정리돼요. 놓치지 말고 따라와요!생계급여 20
blog.k-journey.kr
청년도약계좌, 은행별 & 모바일 신청 절차 비교
청년도약계좌 신청, 어떤 은행이 더 유리할까? 모바일 신청 절차부터 우대금리까지 은행별 차이를 꼼꼼히 비교해드립니다.청년도약계좌, 은행별 & 모바일 신청 절차 비교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
blog.k-journey.kr
'재태크&정부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현실적인 청년 지원 제도 총정리 (2) | 2025.08.17 |
---|---|
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2025년 업데이트 (3) | 2025.08.16 |
간이과세자 기준 핵심 정리 – 2025년 최신 업데이트 (7) | 2025.08.13 |
2025 폐업신고 절차와 주의사항 총정리 (8) | 2025.08.11 |
2025 근로장려금 신청방법과 자격요건 총정리 (6) | 2025.08.10 |